티스토리 뷰

윤석열 대통령이 '북문제가 한중 관계에 걸림돌이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"라고 이야기를 했습니다.

지난 7일(현지시간) 리창(李强) 중국 총리와 회담을 가졌습니다.

 

 

이 자리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"한중관계에 문제가 있더라도 자주 만나 대화를 한다면, 풀어갈 수 있다"라는

긍정적인 입장을 전했습니다.

이에 리창 총리도 전적으로 호응을 했다고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습니다.

 

 

아무래도 북한과 중국은 뗄 수 없는 관계라고 볼 수 밖에는 없어서, 북한과도 중국과도 안전하게 갈 수 있는

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우리 나라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요소가 아닌가 싶습니다.

 

윤석열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한.중 양자회담에서 "북핵문제가 악화될수록 한.미.일 공조가

그만큼 강화될 수 밖에 없다. 앞으로 중국이 성실하게 책임있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."

라고 중국의 대북 재제 동참을 요청했습니다.

 

윤석열 대통령은 앞서 지난 해 11월 15일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 

정상회담을 한 바가 있습니다.

 

 

윤석열 대통령은 한국 정부의 북한 비핵화 로드맵인 담대한 구상에 대해서 소개를 하고,

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, 안정을 위해 담대한 구상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는 한국 정부의 의지를 강조했으며.

리 위원장은 이 구상을 더 잘 이해했고, 시 주석에서 잘 보고하겠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.

 

대통령실 관계자는 시 주석의 방한 가능성 등에 대해 "시 주석의 한국 답방이나 윤 대통령의 중국 방문 전에

해결해야 할 것은 연내에 되도록 고위급 대표 회의를 열고 외교장간 간 소통까지 거쳐서

한.일.중 정상회의를 한국에서 개최하도록 하는 것이다. 이에 대해 중국이 오늘 호응한 것이다.

일단 한.일.중 회의를 동력으로 한국과 중국 간의 고위급 정상회담,

한.일.중 간의 아세안 아태지역에서 함께할 수 있는 협력사업을 발굴해 나갈 수 있을 것"이라고 했습니다.

 

 

저는 솔직히 "언제 전쟁이 일어날지 몰라" 라는 생각을 항상 하고 있는 편인데요.

뉴스나 기사 등을 보고 있으면, 뭔가 평온한 것 같으면서도 일촉즉발의 상황들이 잠깐 잠깐 스쳐지나가는 것 같아

불안한 감정을 항상 가지고 있습니다. 왜냐하면 보이는 게 다가 아닐 수도 있으니깐요.

 

이번 중국과의 회담을 통해서도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지만, 

정말 서로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 만난 평화로운 회담이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.

반응형